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 홈
후원을 기다립니다
동물자살의 원인분석.
by 전병숙 (*.234.64.3)
read 9454 vote 0 2006.01.27 (14:08:54)

동물자살.
그 진실의 해답...

동물들도 사람과 똑같이 "기쁨,슬픔,고통,불안,분노,절망"과 같은
감정을느낄수 있으며 그러한 감정을 이겨내지 못한 동물들은
때때로 자살이라는끔찍한 길을 선택하기도 한다.
인간이 극심한 우울증에 빠져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와 다를 바 없다.
스테판 수오미박사는 우리들이 무심코 지나치지만 "동물도 사람이 느끼는 모든 감정을 느낄수 있다"라는
사실을 감안할때,
우리 인간들의 감정과 생각을 갖고 있는 동물을 학대하지 말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금도 세계각국에서는 고래나 물개들이 해안가로 올라와 죽어간다는사실이 전해지고 있는데, 이렇게 대부분의 해양동물이 갑작스레 해안가로 올라오는 현상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스트랜딩(Stranding)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스트랜딩의 원인을 어떤 이유에선가 "생명의 위협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했다.
사람들이 치료를 해서 돌려보내도 이미, 살려는의지가 없는 상태가 대부분이라 한다.
지극히 건강해보이는 개체들이 집단자살을 하는 경우가 곧잘 발생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최근 해양학자들이 해군이 사용하는 음파탐지기에서 발생하는 음파가 고래들을 놀라게 하여 집단자살을 하게 된다며
음파탐지기를 사용하지 말 것을 주장하고 있다.

스트랜딩의 원인이 될수 있는 것들.
1. 질병의 고통이 너무 크다.
2. 앞으로의 삶이 너무 힘들다고 판단할 경우.
3. 갑작스런 외상으로 더이상 삶의 희망이 보이지 않을 경우.

스테판 스오미박사는 "결국,인간에 의해서 동물은 멸종위기를 갖는
인류의 재앙이라고 덧붙혔다."

박혜선

2006.01.27 (19:54:02)
*.92.224.213

"배려" 요즘 배려라는 책이 출간되었죠. 작은 마음씀씀이 하나로 모든것이 변하지요.
항상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라.
그게 비단 인간들끼리만의 이야기일까요?
모든 생명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조금만 동물의 입장에서 , 조금만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버려지는 동물 학대받는 동물도 줄지
않을까요? 이것이 또한 인간에 대한 배려로도 이어진다고 생각할수 있지요.
지구상에는 인간만이 사는게 아니니까요.
우리가 생각없이 버린 동물들이 한없이 불어나
심각한 유기견문제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남을 배려하지 않고 동물들을 데리고 산책하다보니
공원이나 공공장소에는 아예 동물들을 데리고 출입이
안되는곳까지 있습니다.
우리가 가볍게 생각하고 자신만 생각한 부분들이
결국에는 우리자신에게 돌아온다는 것을 기억했으면
합니다.
최수현

2006.01.28 (09:53:26)
*.57.217.170

지구에 모든 생명이 없어져야 사람들은 정신을 차릴까요? 군대의 음파탐지기가 고래를 놀라게 해서 그걸 안쓰게 될까요? 온갖 물음에 당하는 피해는 고스란히 동물 몫으로 돌아가겠죠. 동물에겐 생명의 본능이라고 악착같이 살려고 하는 부분이 있다고 책에서 읽은적이 있어요..우리가 무슨 힘으로 그들의 생명본능을 제지하는건지..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실천을하셨꾼여~~^^ 2003-09-08 9167
알록이가 사고를 쳤어요....^**^ 2005-03-06 9167
대전유기견의 대모의 청천벽력 7 2006-04-12 9167
전국의 목사님들께 애끓는마음으로 이글을 올립니다 1 2008-09-29 9167
2006년 12월3일 목줄을 풀어준 냥이가 보은보호소에서 잘살고 있음을... 2 2009-09-21 9167
끊임없는 협회의 노력에 감사합니다. 2003-01-31 9168
이번주 일요일에 갈께요.. 2004-09-30 9168
저도 동참할께요. 2005-02-12 9169
토끼도 많은 고통을 당하고있는 동물입니다.. 2003-03-05 9171
"즉석보신탕"에 관한 신문기사-식약청.보건복지부에 무조건 항의를 .. 2002-08-02 9172
지금 어떤상태인가요? 2003-09-18 9173
<font color=blue size=2><b>입양된 효재학생의 강아지 5 2005-10-23 9174
아파트에서는 정말 강쥐를 못 키우는걸까요? 2006-05-28 9175
후원금 부쳤어요. 1 2007-10-12 9175
아파트내 애완견 사육문제 .. 2005-06-13 9177
동물보호법의 강화? 2 2006-02-13 9177
대화를 할 때와 항의를 할 때가 있는 법입니다. 2004-04-15 9178
동물파는 아주머니 벌금형 내려졌습니다. 2 2010-03-04 9179
&lt;거문도 `장악'한 들고양이 780여마리 소탕작전&gt; 연합뉴스 3 2008-07-31 9180
야옹이 입양하실분 찾습니다. 2002-11-05 918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