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 홈
후원을 기다립니다

[오늘 강희옥박사님의 돼지 살생에 관한 글 중 개고기 문제에 대해서 조선일보 칼럼기자가 본인의 뜻과 다르게 그 부분을 왜곡시켜 글을 기재하였다고 전화주셨습니다. 개식용을 반대하는 견해가 저희 협회 입장과 같다고 말씀하여주셔서 반가웠습니다.]

 

강희옥 박사님의 "돼지능지처참 처벌하라" 독자칼럼의 글은 매우 좋으나 유감스럽게도 개식용에 관한 언급은 협회입장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서 그 부분에 대해서는 공감할 수 없습니다.

개식용을 문화차이로 보아서는 안 됩니다. 인간이면 누구나 가장 귀하게 여기며 가장 관심을 가지는 것은 바로 생명에 대한 사랑입니다. 이것은 국가와 문화를 초월합니다.  그러므로 개고기 습관은 생명존중차원의 문제로 다루어야 하며, 동물학대의 시작이 된 개식용 습관은  인간을 포함 모든 종류의 동물 생명 경시로 이끌고 있기 때문입니다.

강희옥 박사님은 우리나라 개고기 문제에 대해 다시한번 더 깊게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이천시장에 보낸 공문과, 사건 경위를 영작하여 새끼돼지 살생사건을 세계로 알려야겠습니다. 이천 시장에게 공문을 보냈으나 아직 아무런 대답도 없습니다. 전혀 반성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관련자들 모두 처벌할 수 있도록 다시 이천 시청에 항의 하도록 합시다.

> > >돼지능지처참 관련자 처벌 및 이천시민 명예회복을 위한 카페입니다. > >http://cafe.daum.net/toRlehowl > >작은 힘이라도 모이면 큰 힘이 됩니다// >뜻을 같이하는 여러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서지원

2007.06.01 (19:01:07)
*.26.138.249

저도 신문을 보면서 대체로, 아니 거의 대부분은 공감했습니다.
우리 협회와 회원 여러분들의 평소의 생각이었으니까요.
하지만 한구절 아쉬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식문화 차이로 볼수 있는 개고기의 문제를 개를 다루는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말한 부분입니다.
아쉬웠습니다.
이정도 의식이 있어 칼럼을 쓸정도인 사람이
이제 더이상 개고기는 먹거리가 아님을
강조해 봄직하지 않았을까하고요.

소, 돼지, 닭한테도 미안한데
개까지 먹어서야하고요.

아무튼 이정도 글이라도 써준것이 고마울 따름입니다.

이천 시청에 항의글 쓰겠습니다.
배을선

2007.06.03 (17:57:28)
*.236.210.234

정말 개식용 없어져야 동물학대도 없어지는다는 말 백번 공감하는 말입니다...
동물을 학대하고 살생하여 그 시체를 식탁에 올리는일 부도덕하고 용서받을수 없는 일입니다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우여곡절 끝에... 2 2010-06-14 10254
주제넘을 지 모르겠습니다만..^^;;동물보호법 추진에 의견 한 가지만 냅니다.. 2004-02-03 10255
충북음성의 죽어가는 유기견들에 관해 11 2006-01-16 10256
80대의 할머니가 고양이 새끼 팔때없는지 물어보네요 1 2007-09-03 10256
서로 헌혈을 해주는 개들-미국 ASPCA 2003-03-25 10258
아파트내 애견사육금지라고 하네요. ㅠㅠ 4 2006-08-05 10258
중국에서..금회장님꼐..몇가지 질문 2002-11-04 10262
드디어 보호소동물이야기1을 썼어요. 2003-08-06 10262
청계천 마차 항의합시다... 4 2007-09-03 10262
하늘을 몰라도 아이들은 알것이다........ 1 2010-03-01 10263
저번에는 홈플러스에서 선착순 햄스터 증정 2003-10-06 10264
사람보다 닭이나 개같은 짐승들이 더높고 아름다운 자리에 있다. 2002-11-26 10265
여러분의 진심어린 제안 고맙긴 하지만... 2003-01-24 10265
외국 유학생이 보내온 이멜(eabock2000 ) 박순화씨 보시기 바랍니다. 2004-04-10 10267
회원카드를 분실했어요 재발급요청합니다. 1 2007-05-04 10268
재롱아 나의 마음을 전한다!! 2005-03-19 10269
유기동물 수 줄이기 운동(상후학생에게) 2005-02-19 10270
심장 사상충 ()^.^()// 1 2010-02-19 10271
김재국씨! 김지형씨! 2004-01-21 10273
물건관리 잘 합시다. 2008-12-31 10273
Top